권리와 폭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13:38본문
Download : 권리와_폭력.hwp
1) 많은 언어에서는 능력을 표현하는 데 두 가지 단어를 사용한다(영어에서는 ‘I can’과 ‘I may’가 능력을 뜻하며, 한국어에서는 ‘~할 수 있다’와 ‘~해도 된다’가 능력을 뜻한다); 나는 ‘물리적으로 가능한 것’을 할 수도 있고, ‘도덕적으로 허용된 것’을 할 수도 있따 도덕적으로 허용된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권리이다. 라이프니츠(Leibniz)는 권리란 ‘도덕적 능력’, 즉 규칙들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이라고 했다.
따라서 권리는 의무와는 반대로 능력, 힘(pouvoir/power)을 나타낸다. 의무는 엄격하며, 이러이러한 행동을 할 것을 나에게 강요한다. 도덕적 규칙은 양심의 내부에 있는 규칙이며, 사회적 구별은 집단이 강요하는 규칙, 즉 집단이 성문법의 형태로 강요하기도 하고, 집단의 모든 구성원들이 따르고 있는 관…(skip)
권리와_폭력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예컨대 나에게는 거리를 산보할 권리, 영화관에 갈 권리가 있으며, 이러한 행동의 판단자는 나 자신뿐이다.
그러나 권리는 ‘규칙이 허용하는 것’이지만, 규칙에는 도덕적 규칙과 사회적 규칙이 있으며, 이 두 규칙은 서로 구별된다된다. 다시 말해 권리는 ‘금지되지 않은 것’이다. , 권리와 폭력인문사회레포트 , 권리와 폭력
권리와 폭력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허락된 범위 안에서는 나만이 내 행동의 유일한 판단자가 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권리는 근본적으로는 도덕적 개념(槪念)이라 할 수 있따 물론 권리는 의무와 구별된다된다. 의무도 권리와 마찬가지로 도덕적인 ‘규칙들’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의무의 규칙은 어떤 행동은 해야 하고 어떤 행동은 금지하면서 나의 자유를 억압하지만, 권리의 규칙은 자유를 보호하고 자유를 실천할 기회를 제공한다.순서
권리와_폭력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나에게는 나의 직업적인 일을 양심적으로 수행해야 할 의무가 있따 반면 권리의 범위는 좀 더 넓다.
Download : 권리와_폭력.hwp( 99 )






권리와,폭력,인문사회,레포트
제7장: 권리와 폭력
‘사실’과 ‘권리’를 구별하는 것은 단순하게 실재하는 것과 합법적인 것을 구별하는 것이다. 권리는 나에게 허락을 제공하기만 하고, 허락된 범위 안에서는 나의 자유에 맡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권리는 ‘허용된 것’이다. 권리는 이중부정을 거쳐 의무와 연결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