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09:17본문
Download : 중환자실.hwp
•대부분 심전도나 심초음파 검사 등의 다른 검사들을 시행한 후 최종적으로 검…(drop)
순서
중환자 진단전 검사종류와 중환자실의 장비와 기구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설명






중환자실
[Nursing ]중환자실
,의약보건,레포트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1. Angiography(혈관조영술)
2. Cardiocatheterrization(심도자술)
3. ABGs(동맥혈가스analysis(분석) 검사)
중환자실의 장비와 기구
1. 중앙, 침상 종합 모니터(EKG, 혈압, 호흡, CVP)
2. 심박출량 측정(測定) 기
3. Pulse oximetry(맥박 산소 계측기)
4. ICP 모니터
5. Intubation set
6. 제세동기(Defibrillator)
7. Emergency cart
8. 일시적 경정맥박동기
9. EVD set
중환자실 실습내용 점검
1. 기본사정
2. 환기장애
3. 순환장애
2. Cardiocatheterrization(심도자술)
: 임상적으로 심장상태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검사방법으로 선천성, 후천성 심장 질환의 진단에 중요하다.[간호학]중환자실 , 중환자실의약보건레포트 ,
중환자 진단전 검사종류와 중환자실의 장비와 기구 등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였습니다.
1) 검사목적
•좌우 심방과 심실, 대혈관 내에서 혈액표본을 채취하여 O2와 CO2의 농도를 측정(測定) 하고, 또 그 곳에서의 압력차를 측정(測定) 함으로써 선천성 심장 중격결손증, 혈류 단락, 판막손상 등의 심장의 구조적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심장수술을 할 환자에게 수술 전에 실시
•심장판막, 대혈관 등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비 수술적인 치료방법으로도 사용: PDA(동맥관개존증)의 좌우단락수술, 승모판막 협착증의 판막절개술, 관상동맥 풍선확장술, 부정맥 수술 등
2) 검사 방법
•대퇴정맥이나 동맥을 통하여 가느다란 특수 플라스틱 도관 (catheter)을 경피적으로 삽입하여 심장 내로 넣어 심장내의 각 방과 혈관에서의 압력과 산소 포화도를 측정(測定) 하며 조영제를 넣고 영화 촬영을 한다.
Download : 중환자실.hwp( 34 )
레포트/의약보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