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관리학]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8:21본문
Download : [인력관리학]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doc
![[인력관리학]%20감수성%20훈련%20(Sensitivity%20Training)_doc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0%A5%EA%B4%80%EB%A6%AC%ED%95%99%5D%20%EA%B0%90%EC%88%98%EC%84%B1%20%ED%9B%88%EB%A0%A8%20(Sensitivity%20Training)_doc_01.gif)
![[인력관리학]%20감수성%20훈련%20(Sensitivity%20Training)_doc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0%A5%EA%B4%80%EB%A6%AC%ED%95%99%5D%20%EA%B0%90%EC%88%98%EC%84%B1%20%ED%9B%88%EB%A0%A8%20(Sensitivity%20Training)_doc_02.gif)
![[인력관리학]%20감수성%20훈련%20(Sensitivity%20Training)_doc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0%A5%EA%B4%80%EB%A6%AC%ED%95%99%5D%20%EA%B0%90%EC%88%98%EC%84%B1%20%ED%9B%88%EB%A0%A8%20(Sensitivity%20Training)_doc_03.gif)
![[인력관리학]%20감수성%20훈련%20(Sensitivity%20Training)_doc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0%A5%EA%B4%80%EB%A6%AC%ED%95%99%5D%20%EA%B0%90%EC%88%98%EC%84%B1%20%ED%9B%88%EB%A0%A8%20(Sensitivity%20Training)_doc_04.gif)
![[인력관리학]%20감수성%20훈련%20(Sensitivity%20Training)_doc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0%A5%EA%B4%80%EB%A6%AC%ED%95%99%5D%20%EA%B0%90%EC%88%98%EC%84%B1%20%ED%9B%88%EB%A0%A8%20(Sensitivity%20Training)_doc_05.gif)
![[인력관리학]%20감수성%20훈련%20(Sensitivity%20Training)_doc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0%A5%EA%B4%80%EB%A6%AC%ED%95%99%5D%20%EA%B0%90%EC%88%98%EC%84%B1%20%ED%9B%88%EB%A0%A8%20(Sensitivity%20Training)_doc_06.gif)
제3자 중재개입 (Third-Party Intervention)
1. definition
제3자 중재개입은 두 사람, 혹은 두 부서간에 갈등이 발생하였을 때 제3자가 개입하여 서로간의 Communication을 원할히 하도록 도움으로써 갈등상황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다. Walton은 갈등을 일으키는 쟁점, 갈등을 조장하는 environment, 갈등과 관련된 당사자의 행동 및 갈등의 결과라는 4가지 기본요소를 바탕으로 개인간 갈등의 진단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아 또한, 갈등은 순환적인 과정이며, 이 순환은 호의적이거나, 적대적인 또는 가치 유지적인 성격을 지닐 것이다.
공동의 궁극적인 목적에 초점을 맞춘다.
공통적인 分析(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 3자는 이들이 갈등을 표면화 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직면전술(confrontation tactics)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알고 있어야만 한다.
문제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이 개입방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제 3자 개입은 Richard E. Walton에 의해 그 theory(이론)과 실천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의 저서는 개인간 갈등을 이해하고 통제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개입방법을 다루고 있다아
2. 목적
제3자 개입의 기본 특징은 갈등의 직면(Confrontation)에 있다아 이것은 갈등을 겪고 있는 두 당사자가 그들의 갈등에 대해 초점을 두고 직접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제3자는 갈등 상황을 진단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정확한 진단을 위…(skip)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력관리학]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
Download : [인력관리학]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doc( 16 )
순서
[인력관리학]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 , [인력관리학]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인문사회레포트 , 인력관리학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
인력관리학,감수성,훈련,Sensitivity,Training,인문사회,레포트
[인력관리학]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
다. (그룹 전체의 목적)
3. 제3자의 역할
제 3자는 외부의 컨설턴트이거나 다른 단위 부서의 관리자나 사원, 대표 등이 될 수 있다아 제3자 개입이 efficacy를 거두려면 두 당사자가 갈등이 존재하며 이것과 관련된 두 당사자의 efficacy성에 effect(영향) 을 끼친다는 사실을 직면하려는(confront) 의지를 가져야 한다. 이는 그 자체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조직개발에서 지니는 역할 때문에도 중요하다.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들을 찾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