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13:52
본문
Download : 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hwp
인간의 인식 속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여러 현상들을 사유를 통해 걸러내고 걸러내어 완정한 미적 가치가 발현되는 가운데어서 담백은 나타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욕심을 반사하고 또는 욕심까지 흰빛으로 융화하여 가볍게 하여 흰빛의 순수를 살린 색깔이라 할 수 있다아 그 정신 속에서 우리는 담백의 미학적 성향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사유를 통해 욕심을 걸러내고, 그 본질을 발견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는 가운데에서 담백은 발현되는 것이다. 단순히 현상적인 잡팁만을 배제한 시각적 흰빛이 아니란 것이다.
우리 나라의 흰 빛은 서양의 잡티가 하나도 없는 흰빛과는 다르다.(물론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더 좋은 맛을 내기 위해서는 사과는 깨끗하고 흠이 없는 사과를 쓰기도 하지만... 작가의 도덕적 완정성 추구와 비교해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삭혀지면서 자신…(skip)
다.
Download : 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hwp( 41 )



,예체능,레포트
설명
순서
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
레포트/예체능
담백의미
담백의미 , 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예체능레포트 ,
1. 예술의 도덕성
2. 담백의 미학적 성향
3. 깊음의 미
2. 담백의 미학적 성향
요즘 미술은 개별적인 를 찾아 그것을 나열하는 중심 미술이다. 예를 들어 선비들의 도포는 투명하면서도 빛을 계속 반사하는 가운데에서 드러나는 가벼운 흰빛이다.
3. 깊음의 미
식초를 한번 생각해 보자. 식초에 들어가는 재료를 사과라고 가정하고 상상해 보자. 처음 식초를 담글 때, 사과는 원형 그대로이다. 하지만 우리의 미적 가치는 그 모든 개별적 들이 하나로 융화되어 새로운 맛을 내는 중화된 미술이라 볼 수 있다아 젓갈이 삭혀져서 개별적인 생선들이 하나로 새로운 깊은 맛을 내듯 융화된 미술이 담백의 미학적 성향이라 할 수 있다아
단순히 젓갈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우러나오는 맛이라면은 미술의 영역에서 개별적 들이 융화되기 위해서는 작가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유하고 사유하는 과정을 통해 그 들의 본질들이 연결되어 그 본질만이 잡티가 배제된 본질만이 작품 속에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백자의 흰빛은 희다기보다는 탁하면서도 맑은 기운이 감도는 청초한 맛이 나는 빛깔이다. 우리 민족 고유의 화(和)의 사상은 담백을 통해 드러난다.